취미2011. 2. 20. 01:00

Kied로 알아서 삭제하세요
주위라고 되어 있는거는 지워도 되긴하지만 전 그냥 안지우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A00000000D.apk [june 컨텐츠함] 삭제(프리존에서 노래다운시 저장안됨)
A00000000E.apk [네이트 무료 벨소리] 삭제(네이트 사용시 사용)
A0000OMADL.apk [NATE Downloader] 삭제(네이트 사용시 사용)
AccountAndSyncSettings.apk [계정 및 동기화] 위험
AndroidTStore.apk [T Store] 주의
andSisWidget3_signed.apk [그림친구 확대 위젯] 삭제
AnycallServiceCenter.apk [애니콜 서비스센터] 삭제
AppInstaller.apk [프로그램 탐색기] 위험
Apple.apk [애플민트 폰트] 삭제
Provider.apk [Providers. Applications] 위험
ARMService.apk [T Store ARM] 주의
AxT9IME.apk [삼성 키패드] 위험
BadgeProvider.apk [BadgeProvider] 위험
BluetoothOPP.apk [블루투스 공유] 위험
BluetoothServices.apk [블루투스 서비스] 위험
BluetoothTestMode.apk [블루투스 테스트 모드] 위험
Browser.apk [인터넷 웹브라우저] 위험
BuddiesNow.apk [친구소식 위젯] 삭제
CalendarProvider.apk [일정 저장] 위험
Camera.apk [카메라] 위험
CameraFirmware.apk [카메라 펌웨어] 위험
CertInstaller.apk [인증서 설치자] 위험
Choco.apk [초코쿠키 폰트] 삭제
ClockPackage.apk [알람시간] 위험
Contacts.apk [전화번호부] 위험
ContactsProvider.apk [연락처 저장] 위험
DataCreate.apk [DataCreate] 위험
Days.apk [메모 위젯] 삭제
DefaultContainerService.apk [Media Container Service] 위험
DialerTabActivity.apk [전화] 위험
DioDict.apk [사전] 삭제
Divx.apk [인증서 설정] 위험
Dlna.apk [AllShare] 삭제
DMF.apk [DMC] 위험
downloadProvider.apk [다운로드 관리자] 위험
DrmUA.apk [DRMContentLauncher] 위험
DualClock.apk [듀얼 시계 위젯] 삭제

DummyUInput.apk [dummy.input] 위험

DummySrn.apk [dummy.screen] 위험

Email.apk [이메일] 주의
FactoryTest.apk [Factory Setup] 위험
FirmwareUpdate.apk [Update.firmware] 위험
GagebuInstall.apk [가계부] 삭제
Gallery3D.apk [갤러리] 위험
GenieWidget.apk [뉴스와 날씨] 삭제
Gmail.apk [구글 메일] 삭제
GoogleBackupTransport.apk [Google Backup Transport ] 위험
GoogleCalendarSyncAdapter.apk [Calendar Sync Adapter] 위험
GoogleContactsSyncAdapter.apk [Contacts Sync Adapter] 위험
GoogleFeedback.apk [구글계정 피드백] 위험
GooglePartnerSetup.apk [통신사업체 설정] 위험
GoogleQuickSearchBox.apk [구글 퀵 검색] 삭제

GoogleServicesFramework.apk [구글 서비스 전반의 프레임워크] 위험
GpsSetup2.apk [GPS 전반에 관련된 셋업] 위험

HDvideoCall.apk [영상통화] 주의
HTMLViewer.apk [HTML Viewer] 삭제
InfoAlarm.apk [데일리 브리핑] 삭제 (알람과 연동기능 있을시 사용)
InputEventApp.apk [samsung.InputEventApp] 위험
JobManager.apk [작업관리자] 위험
Kies.apk [USB 연결설정] 위험



KyoboEbook.apk [교보 e-Book] 삭제
l000400002.apk [NATE] 삭제(T 서비스의 M 고객센터 접속불가)

l0001f00002.apk [moneta] 삭제
l001mtm091.apk [T map] 주의
LiveWallpapers.apk [Android 라이브 배경화면] 삭제
LiveWallpapersPicker.apk [라이브 배경화면 선택기] 주의(라이브 배경화면 사용불가)
LogsProvider.apk [LogsProvider] 위험

MarketUpdater.apk [마켓 업데이터] 위험

MediaProvider.apk [미디어 저장소] 위험
MediaUploader.apk [내 업로드] 위험
Melon.apk [Melon] 삭제
Memo.apk [메모] 삭제
MiniDiary.apk [미니 다이어리] 삭제
MusicPlayer.apk [뮤직 플레이어] 주의
NatePortalMini.apk [네이트 앱] 삭제
NetworkLocation.apk [네트워크 위치] 위험
NewsWidget.apk [뉴스(무료)] 삭제
OMPDL.apk [T Store Downloader] 주의
OnNews.apk [OnNews] 삭제
OtaProvisioningService.apk [CP Message] 위험
Ovjet.apk [OVJET] 삭제
PackageInstaller.apk [패키지 설치 프로그램] 위험
Personalization.apk [Personalization] 위험
Phone.apk [다이얼] 위험
Phone_Util.apk [PhoneUtil] 위험
PhoneErrService.apk [폰 에러 서비스] 위험
PhoneSetupWizard.apk [프로요 설정화면 관련] 주의
PicoTts.apk [음성인식 관련] 주의
Preconfig.apk [Preconfig] 위험
Protips.apk [홈 화면 도움말] 삭제

RDiagno.apk [SKT 원격상담] 삭제

RInstallAgent.apk [원격상담] 삭제

rsinput2.apk [SKT 원격상담] 삭제

rssrn.apk [SKT 원격상담] 삭제
SamsungWidget_CalendarClock.apk [일정 시계 위젯] 삭제
SamsungWidget_DataCallSetting.apk [데이터 통신 설정 위젯] 삭제
SamsungWidget_FeedAndUpdate.apk [SNS 업데이트 위젯] 삭제
SamsungWidget_Mirror.apk [거울 위젯] 삭제
SamsungWidget_ProgramMonitor.apk [프로그램 모니터] 주의
ScreenCaptureService.apk [스크린 캡쳐] 주의
SEC_MMS.apk [메시지] 위험
SecDownloadProvider.apk [Providers.downloads] 위험
SecMMS_Interface.apk [MMS] 위험

SecurityProvider.apk [주소록 저장소] 주의
SelfTestMode.apk [Self Test Mode] 위험
serviceModeApp.apk [Service Mode] 위험
Settings.apk [환경설정] 위험
SettingsProvider.apk [설정 저장소] 위험
SetupWizard.apk [설치 마법사] 위험

ShootnShare.apk [Shoot & Share] 주의
shutdown.apk [ShutdownApp] 위험
SimDetachNotifier.apk [SimDetachNotifier ] 위험
SisoDrmProvider.apk [DRM으로 보호된 콘텐츠 저장소] 위험
SKAFCore.apk [T Store 구버전에서 SKAF로 구동되었을 때 사용] 신버저(2.0) 사용시 삭제
SkafLauncher.apk [SKAF] T Store 신버전(2.0) 사용시 삭제
SKTAdminSetting.apk [SKT Admin Setting] 위험
SKTHiddenMenu.apk [SKT Hidden Menu] 위험
SKTNetworkTool.apk [SKT Network Tool] 위험

SKT_rsinput.apk [SKT Diagnosis (Input2)] 주의

SKT_rssrn.apk [SKT Diagnosis (Screen)] 주의

Smartcardservice.apk [스마트카드 서비스] 미사용시 삭제
SnSAccount.apk [내장 트위터 위젯] 주의(SNS 관리기능 사용시 사용)
SnSProvider.apk [내장 트위터 위젯] 주의(SNS 관리기능 사용시 사용)
SoundPlayer.apk [사운드 플레이어] 주의
SSTDMB.apk [TV(DMB)] 위험
Stk.apk [SIM 툴킷] 위험
Street.apk [스트리트 뷰] 주의(구글맵 사용시 사용)
Swype.apk [스와이프 키보드] 주의
SyncManager.apk [SyncManager] 위험

Talk.apk [구글 토크] 위험
TATLiveWallpapersAurora.apk [오로라 배경화면] 삭제
TATLiveWallpapersBlueSea.apk [푸른바다 배경화면] 삭제
TelephonyProvider.apk [다이얼러 저장소] 위험
thinkdroid.apk [thinkFree Office] 주의
Tinker.apk [팅커벨 폰트] 삭제
TouchWiz30Launcher.apk [삼성 홈] 위험
TouchWizCalculator.apk [계산기] 주의
TouchWizCalendar.apk [일정] 위험
TService.apk [소리샘 설정/해지, 착신전환등록, 로밍관련 설정] 주의

T_store_Sideloading.apk [T Store Sideloading] 주의
TtsService.apk [음성인식 관련] 주의
TwWallpaperChooser.apk [삼성 홈 기본 배경화면] 삭제
UserDictionaryProvider.apk [SWYPE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사전] 주의

UCLauncher.apk [네이트 온 uc] 주의
V3MobileInstaller.apk [V3 Mobile] 주의
VideoPlayer.apk [비디오 플레이어] 주의
VideoTutorial.apk [동영상 사용설명서] 삭제(sdcard내 Tutorial 폴더도 함께 삭제)
VisualizationWallpapers.apk [Music Visualization 배경] 위험
VoiceRecorder.apk [음성녹음] 주의
VoiceSearch.apk [음성검색] 주의
VpnServices.apk [VPN 서비스] 위험
Weather.apk [날씨] 삭제
WeatherWidget.apk [날씨(무료)] 삭제
WiFiAuth.apk [WiFiAuthService] 위험
WlanTest.apk[WlanTest] 위험
wssomacp.apk [OMACP] 위험
wssyncmldm.apk [원격 단말관리 서비스] 위험
wssyncmlnps.apk [wssyncmlnps] 위험
YouTube.apk [유튜브] 삭제
Z0000TSEED.apk [T store Utility] 주의


출처 : http://matpclub.com/
Posted by 샤키
취미2010. 9. 26. 09:12


삼성전자의 신형 안드로이드폰 갤럭시S가 출시 10일만에 20만 대 이상 판매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GHz 프로세서와 512MB 메모리를 탑재한 이 제품은 멀티터치, 지상파 DMB 시청 기능 등 국내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다면 갤럭시S의 내부는 어떤 모양일까? 미디어잇 리뷰를 통해 갤럭시S를 속속들이 분해해 본다.

1단계 : 배터리 커버 분리

갤럭시S의 분해는 '배터리 커버' 분리 작업으로 시작된다.

후면 커버를 벗기면 USIM 슬롯, 마이크로SD 슬롯, 내장 스피커, 착탈식 배터리, 내장 카메라 등이 눈길을 사로잡지만, 자세히 보면 총 여섯 개의 십자 나사가 갤럭시S 조립에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떼어내면 갤럭시 S의 내부를 만나볼 수 있다.

과거 휴대폰은 6각 나사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임의로 단말기를 분해하기 어려웠는데, 제품이 슬림화되며 십자 나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6각 나사가 거의 사라졌다. 덕분에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 드라이버 하나로 휴대전화를 분해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혹 제조사가 사용자의 임의 분해를 막기 위해 나사 부분을 스티커로 마감 하거나 고무 마게 등으로 막아두기도 하는데, 갤럭시S의 십자 나사는 외부에 온전히 노출되어 있다.

2단계 : 후면 커버 분리

6개의 나사를 풀면 후면 커버를 분리할 수 있다. 단, 이 과정에는 약간의 힘이 필요하다. 갤럭시S 측면에는 띠 형태의 테두리가 있는데 이는 힘으로 떼어내야 한다. 후면 배터리 커버를 분리하면 기다리던 갤럭시S의 기본 속살을 만나볼 수 있다.

처음 떼어낸 후면 커버에는 안테나와 관련된 것들이 자리하고 있다.

< 블루투스 등 통신용 안테나 연결 부분 >

좌측 상단에 있는 금속은 Wi-Fi나 블루투스 등을 위한 안테나 관련 부이며, 우측 끝부분에 위치한 아래로 길게 뻗은 안테나는 지상파 DMB 수신을 위한 것이다. 하단에는 전화 수신용 메인 인터네가 위치했다.

아이폰4의 경우, 단말기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테두리를 안테나로 사용, 통신 수신 시 문제가 되었는데, 갤럭시S 인테나는 외장 플라스틱과 약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때문에 수신율 저하 발생 가능성이 아이폰 4보다 적다. 물론 삼성전자는 사용 설명서를 통해 휴대전화 잡는 고객들을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안내한 바 있다.

3단계 : 내장 카메라 분리

갤럭시S는 500만 화소 및 VGA급 카메라 모듈 2종을 기본 탑재했다. 카메라의 위치는 위 사진 기준으로 좌측 상단이다.

카메라 컨트롤러로 사용된 칩은 NEC사 MC-10170 칩이며, 메인 카메라는 후면을, VGA급 카메라는 전면을 향하고 있다.  

4단계 : PCB 분리

본격적으로 PCB 분리에 들어가 보자.

< PCB 의 모습 >

< 상단 PCB를 걷어 낸 모습 >

< 상단과 하단 PCB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

갤럭시S의 PCB는 핵심 프로세서 및 PMIC 등이 있는 메인 PCB와 마이크로SD/USIM 슬롯 등이 장착된 서브 PCB 2단으로 구성된다. 이들 PCB는 별도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 상단 PCB는 내장 스피커, USIM 슬롯, 마이크로SD 슬롯으로 구성 >

갤럭시S의 상단 PCB는 음악이나 소리를 외부로 전달 시 사용되는 내장 스피커와 USIM 슬롯, 별도의 외장 메모리인 마이크로SD용 슬롯으로 구성된다.

상단 PCB와 맞닿은 메인 PCB에는 Wi-FI 및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SWB-B23칩과 지상파 DMB용 T3700 칩이 있으며, 단말기의 전원 공급 관련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PMIC칩 MAX8898도 보인다. RF칩으로는 퀄컴의 RTR6285 칩을 사용했다.

갤럭시S의 메인 PCB는 양면 구성을 택했다. 단면 PCB 2개를 사용하면 발열 등에서 더 자유로울 수 있겠으나 상대적으로 단말기 두께가 두꺼워지기에 장단이 있다. 과거 같으면 발열 문제로 어려운 구성이지만, 삼성전자가 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했기 때문에 양면 PCB를 이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메인 PCB 후면 부분 >

메인 PCB 후면은 전면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머리라 할 수 있는 메인 프로세서는 삼성전자의 1GHz 클럭 ARM코어 프로세서(C111A)가 사용되었고, 메모리 역시 자사 제품인 512MB 용량의 MoviNAND가 사용되었다. 램 구조와 관련, 전문가에게 문의한 결과 4Gb NAND + 3Gb DDR + 1Gb OneNAND가 정확했다. bit를 byte로 환산한 결과값으로 나타내면, 램구조는 500MB NAND + 375MB DDR + 125MB OneNAND 다.

MSM 칩으로는 퀄컴의 MSM6290을 사용했고, 오디오코덱은 울프슨의 칩을 채택했다. Sub PMIC는 메인 PMIC와 동일 제조사 제품인 MAX8674 칩을 이용했다.

< 하단 안테나와 PCB는 별도 케이블로 연결됨 >

< 하단 부의 모습 >

단말기 하단에는 진동 모터, 송신용 마이크, 인테나 컨택 단자 등이 있는데, 이 부분은 메인 PCB와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된다.

5단계 : 전면 보호덮개 분석

< PCB를 떼어내면 만나볼 수 있는 후면 >

PCB를 때어내면 그 뒤로 회색의 금속을 만날 수 있다. 이것은 마그네슘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전면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부의 경우, 미관상 좋은 검은색 도색이 되어 있다.

상단부를 좌측부터 살펴보면, 화상 카메라용 홈을 볼 수 있고, 그 옆으로 3.5파이 이어잭, 전화 통화 용 리시버, 근접 및 조도 센서용 PCB 등이 있다. 중앙 부분에는 터치 센서용 Drive IC와 터치 센서 조립용 커넥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6단계 : 강화유리 & 터치센서 & SuperAMOLED 분리

PCB 분리까지 완료하니, 갤럭시S 분해의 최종 단계만이 남았다. 바로 전면 강화유리 및 터치센서, SuperAMOLED의 분해다.

갤럭시S는 강화유리와 터치센서, SuperAMOLED 가 일체형으로 합쳐져 있다. 따라서 분해 작업 자체가 고난이도의 기술과 힘 조절이 필요하다. 일반인들은 쉽지 않은 작업인 만큼, 이 기사를 참고해 분해하는 이가 있다면 자제하기 바란다.

상단부를 떼어내니 Super AMOLED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들이 눈에 들어왔다. AMOLED 관련해 갤럭시S에 사용된 것은 삼성 SMD(삼성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AMS397GE02다.

제품 하단에는 사용자가 갤럭시 S 전면 하단을 클릭 시 발생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들이 내장되어 있다.

갤럭시 S 분해 동영상

Install Silverlight3 

* 충격 테스트 예고! 갤럭시S의 강화유리는 얼마나 강할까?

모든 미디어가 갤럭시S의 외형 및 기능 리뷰에 혈안이 되어 있을 때, 미디어잇은 제품을 분해해 속살을 공개했다. 아이폰이 출시될 때마다 많은 사용자들이 분해를 원했던 것처럼, 갤럭시S의 속을 궁금해 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분해를 시작으로 미디어잇은 갤럭시S가 충격에 얼마나 강한지 테스트 해 보았다. 갤럭시S의 전면은 강화 유리를 사용했는데, 과연 생활 스크래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까?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단말기를 아스팔트에 떨어뜨렸을 때 유리가 깨지거나 하지 않을까? 오는 7월 8일, 관련 동영상과 함께 테스트 결과를 공개한다.

개.봉.박.두!

미디어잇 이진 기자 miffy@it.co.kr
영상 / 허완회 PD broad@it.co.kr
상품전문 뉴스 채널 '미디어잇(www.it.co.kr)

출처 : 미디어잇 www.it.co.kr

Posted by 샤키
취미2010. 3. 18. 01:28





원피스의 극장판 더빙 모습이 담겨 있는 영상입니다..




특전영상인지 모르겠지만..

전부터 원피스 실제 성우분들이 하시는거 보고 싶었는데...  이런 영상이 있었다니... +_+

어느정도 환상(?)은 깨지지만   

원피스의 인기의 한 몫하는 성우분들의 힘을 느낄수 있는 영상이네요... +_+

성우분들의 연기 ㅎㄷㄷ



출처 : 루리웹
Posted by 샤키
Linux/Unix2010. 3. 4. 01:57

Rsync로 동기화를 할때 ssh를 이용하기 때문에

crontab을 등록하여 이용하게 되면 자동으로 되는 작업에 암호가 필요 하게 된다

이러한 인증을 없이 하기 위해 ssh-keygen를 이용하면 된다

   

   

위와 같이 가상서버에서 확인해보자

   

ip 150서버에서 102서로 ssh를 이용하여 접속을 해보면 패스워드를 물어 보는것을 알 수 있다

   

150 root 밑에 .ssh를 가보면 known_hosts만 보인다

   

이와 같이 ssh-keygen으로 rsa타입으로 공개키를 생성해준다

   



id_rsa, id_rsa.pub 파일이 생성 된다

   

접속할 대상서버에는 id_rsa.pub을 authorized_keys로 파일을 하나 복사하고

   

id_rsa.pub 안에 공개키 (내서버)

   

authorized_key에 위에 공개키를 복사한다 (접속할서버)

   

내서버 위에서 만든 공개키를 접속할서버 authorized_keys에 넣어준다

   

내서버에서 접속할 서버를 접속해보면 암호없이 접속 되는것을 볼수 있다

 

Posted by 샤키
Linux/Unix2010. 1. 14. 10:03

netstat의 State 필드에 표시되는 TCP 상태표시가 갖는 의미를 알아봅시다.
RFC 793 문서에 있는 TCP 기본 연결, 종료 과정을 보면 이해가 더 빠를 거라 생각한다.
  
-----------------------------------------------------------
# netstat -atn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 생략 ...
tcp        0      0 0.0.0.0:25             0.0.0.0:*             LISTEN      <-- 포트가 열렸음
tcp        0      0 192.168.123.10:32799   207.46.106.141:1863   ESTABLISHED <-- 서로 연결중
tcp        0      0 192.168.123.10:32794   218.xxx.xx.xx:22      ESTABLISHED
tcp        0      0 192.168.123.10:32802   207.46.108.46:1863    CLOSE_WAIT  <-- 종료 대기중
tcp        0      0 192.168.123.10:33244   211.xxx.xx.x:80       ESTABLISHED
... 생략 ...
-----------------------------------------------------------
  
1) TCP 연결관련 상태
  
* RFC 793문서에 나온 기본적인 TCP 연결 과정

      TCP A                                                      TCP B

  1.  CLOSED                                                     LISTEN
  2.  SYN-SENT    --> < SEQ=100>< CTL=SYN>                   --> SYN-RECEIVED
  3.  ESTABLISHED <-- < SEQ=300>< ACK=101>< CTL=SYN,ACK>     <-- SYN-RECEIVED
  4.  ESTABLISHED --> < SEQ=101>< ACK=301>< CTL=ACK>         --> ESTABLISHED
  5.  ESTABLISHED --> < SEQ=101>< ACK=301>< CTL=ACK>< DATA>  --> ESTABLISHED

LISTEN      : 데몬이 요청을 발을 수 있도록 연결 요구를 기다리는 상태
  즉, 포트가 열려있음을 의미. http(80), mail(25), ftp(21), telnet(23) 등
  위에서 포트 25(mail)이 메일을 받을 수 있도록 열려 있는 상태
  윈도우즈에서는 LISTENING으로 표시
SYN_SENT    : 로컬에서 원격으로 연결 요청(SYN 신호를 보냄)을 시도한 상태
SYN_RECV    : 원격으로 부터 연결 요청을 받은 상태
  요청을 받아 SYN+ACK 신호로 응답은 한 상태이지만 ACK는 받지 못했다.
  netstat로 확인할 때 SYN_RECV가 상당히 많다면 TCP SYN 플러딩(Flooding) 공격일
  가능성이 있다.
  윈도우즈와 솔라리스에서는 SYN_RECEIVED으로, FreeBSD는 SYN_RCVD으로 표시
ESTABLISHED :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
  위에서 192.168.123.10의 포트 32794과 218.xxx.xx.xx의 포트 22(ssh)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

2) TCP 종료관련 상태

* 정상적인 연결 종료 과정

      TCP A                                                   TCP B

  1.  ESTABLISHED                                             ESTABLISHED
  2.  (Close)
      FIN-WAIT-1  --> < SEQ=100>< ACK=300>< CTL=FIN,ACK>  --> CLOSE-WAIT
  3.  FIN-WAIT-2  <-- < SEQ=300>< ACK=101>< CTL=ACK>      <-- CLOSE-WAIT
  4.                                                         (Close)
      TIME-WAIT   <-- < SEQ=300>< ACK=101>< CTL=FIN,ACK>  <-- LAST-ACK
  5.  TIME-WAIT   --> < SEQ=101>< ACK=301>< CTL=ACK>      --> CLOSED
  6.  (2 MSL)
      CLOSED                                                      

FIN_WAIT1   : 소켓이 닫히고 연결이 종료되고 있는 상태. 원격의 응답은 받을 수 있다.
  솔라리스에서는 FIN_WAIT_1로 표시
FIN_WAIT2   : 로컬이 원격으로 부터 연결 종료 요구를 기다리는 상태
  솔라리스에서는 FIN_WAIT_2로 표시
CLOSE_WAIT  : 원격의 연결 요청을 받고 연결이 종료되기를 기다리는 상태
  원격으로 부터 FIN+ACK 신호를 받고 ACK 신호를 원격에 보냈다.
TIME_WAIT   : 연결은 종료되었으나 원격의 수신 보장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태
  이 상태를 특히 자주 보게되는 Apache에서 KeepAlive를 OFF로 해둔 경우,
  Tomcat 서버를 쓰는 경우 등
LAST_ACK    : 연결은 종료되었고 승인을 기다리는 상태
CLOSED      : 완전히 연결이 종료된 상태

※ 위의 FIN_WAIT1, FIN_WAIT2, CLOSE_WAIT 3개 상태는 연결 종료를 위해 서로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에 나타나는 상태로 이해하면 된다.
   종료 요청을 한 곳에서는 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상태가
   종료 요청을 받는 곳에서는 CLOSE_WAIT, LAST_ACK 상태가 표시된다.

3) 기타

CLOSING     : 연결은 종료되었으나 전송도중 데이타가 분실된 상태
UNKNOWN     : 소켓의 상태를 알 수 없음

솔라리스의 netstat 명령에서는 다음 2개의 상태를 더 표시한다.

IDLE        : 소켓이 열렸지만 binding 되지 않은 상태
BOUND       : listen이나 연결을 위한 준비 상태


출처 : http://coffeenix.net/
Posted by 샤키
Linux/Unix2010. 1. 11. 18:01
목차
1. 가장 일반적인 find 명령어

2. find 명령어 일반적인 옵션
  2-1. 사용법 개요
  2-2. 일반적으로 표현식 옵션 구분
  3-3. 자주 사용되는 표현식 옵션
  3-4. path(find 명령어 다음의 path)
  3-5. 표현식-연산자

3. 예제
  3-1. 다른 명령어와 결합형태(ls,xargs)
  3-2. 퍼미션 관련 예제
  3-3. 유저와 관련된 예제
  3-4. 팁
  - 최근 하루(1) 동안(-)에 변경(change)된 파일을 찾을려면(-ctime)?
  - 오래된 파일을 찾을려면(30일 이상 수정(modify))되지 않은)?
  - 최근 30일(30) 안에(-) 접근(access)하지 않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리스트로 만들려면(-atime)?
  - 자신의 홈디렉토리에서 만 검색하려면?
  - 서브 디렉토리로 내려가지 않고 현재 디렉토리에서만 검색하려면?
  - 특정 유저(foobar) 소유의 파일을 찾을려면?
  - 퍼미션이 777인 파일을 찾을려면 ?
  - others에게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을 찾을려면?
  - others에게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을 찾아 쓰기 권한을 없애려면?
  - 유저이름과 그룹이름이 없는 파일을 찾을려면?
  - 빈 파일을 찾을려면?
  - 파일크기가 100M 이상된 파일을 찾을려면?
  - *.bak 파일을 찾아 지울려면?
  - *.bak 파일을 찾아 특정 디렉토리로 옮길려면?
  - 디렉토리 만 찾을려면?
  - root권한으로 실행되는 파일을 찾을려면?
  - 다른 파일시스템을 검색하지 않을려면?
  - 파일이름에 공백이 들어간 파일을 찾을려면?
  - 숨겨진(hidden) 파일을 찾을려면?
  - 같은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를 찾을려면?
  - 잘못된 링크를 찾을려면?

4. find 명령어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려면?

------------------------------------------------------------

1. 가장 일반적인 find 명령어

	# find /path -name "foobar" -print

제일 먼저(?) 배우는 형식이 아닌가 쉽군요.


2. find 명령어 일반적인 옵션

2-1. 사용법 개요

find 명령어 사용법 보기 :

# find --help
# man find (직접 입력해 보세요. 내용이 너무 많아서..)

사용법 : find [path...] [expression]
기본값 : default path는 현재 디렉토리;  default expression은 -print

표현식(expression) 구성 :
operators (decreasing precedence; -and is implicit where no others are given):
      ( EXPR ) ! EXPR -not EXPR EXPR1 -a EXPR2 EXPR1 -and EXPR2
      EXPR1 -o EXPR2 EXPR1 -or EXPR2 EXPR1 , EXPR2
options (always true): -daystart -depth -follow --help
      -maxdepth LEVELS -mindepth LEVELS -mount -noleaf --version -xdev
tests (N can be +N or -N or N):
      -amin N -anewer FILE -atime N -cmin N
      -cnewer FILE -ctime N -empty -false -fstype TYPE -gid N -group NAME
      -ilname PATTERN -iname PATTERN -inum N -ipath PATTERN -iregex PATTERN
      -links N -lname PATTERN -mmin N -mtime N -name PATTERN -newer FILE
      -nouser -nogroup -path PATTERN -perm [+-]MODE -regex PATTERN
      -size N[bckw] -true -type [bcdpfls] -uid N -used N -user NAME
      -xtype [bcdpfls]
actions:
      -exec COMMAND ; -fprint FILE -fprint0 FILE -fprintf FILE FORMAT
      -ok COMMAND ; -print -print0 -printf FORMAT -prune -ls

간단하게 몇가지만 알아보죠...
(자세한 사용설명은 꼭 man 페이지를 읽어보세요....한글은 없군요..T.T)


2-2. 일반적으로 표현식 옵션 구분

  -a'xxxx'
		'xxxx'에 대한 Access(접근)
  -c'xxxx'
		'xxxx'에 대한 Changes(변경), 마지막으로 Access한 경우 변경됨
  -m'xxxx'
		'xxxx'에 대한 Modify(수정), 파일내용 자체 수정한 경우
  -i'xxxx'
		'xxxx'(inum 제외)에 대한 Insensitive(대소문자 구분없이)

3-3. 자주 사용되는 표현식 옵션

  N
		정확하게 N과 일치
  +N
		N 보다 큰 경우
  -N
		N 보다 작은 경우
  -name PATTERN
		PATTERN에 일치하는 파일 찾기, 와일드카드 문자 사용가능
  -iname PATTERN
		PATTERN에 일치하지 않은(insensitive) 파일 찾기
  -perm [+-]mode
		PERMission('mode')에 해당되는 파일 찾기, ls와 결합 가능
  -type [bcdpfls]
		b(블럭파일), c(특정 문자), d(디렉토리), p(파이프),
		f(정규표현 일반파일), l(링크), s(소켓) 유형의 파일 찾기
  -size N[bckw]
		파일 크기가 N 인 파일 찾기
		b(블럭-기본값), c(bytes), k(kbytes),
		w(2바이트 단어)
  -user NAME
		NAME은 유저이름이거나 UID
  -atime N
		N*24 시간 동안에 Access 한 파일
  -ctime N
		N*24 시간 동안에 Changes 한 파일(내용수정이 아니고 읽기모드도 Changes됨)
  -mtime N
		N*24 시간 동안에 Modify 한 파일
  -empty
		파일이 비어 있고(0 bytes), 정규식 파일이거나 디렉토리
  -newer FILE
		FILE 보다 최근에 갱신된 파일
  -path PATTERN
		path가 PATTERN과 일치하는 path에 대해서 검색
  -regex PATTERN
		파일이름이 PATTERN에 일치하는 정규식에 대해서 검색
  -inum N
		inode N을 갖는 파일
  -nouser,-nogroup
		USER나 GROUP에 이름이 없는 파일 검색(UID,GID만 있는 파일)
  -exec COMMAND
		검색된 파일을 찾으면 COMMAND 명령을 실행한다.
		COMMAND 인자(검색된 파일)는 {}으로 사용하며,
		이때 COMMAND 끝은 \;(;이 아님)을 사용해야 한다. 즉 명령구분
		문자인 ';'을 탈출(\)시켜줘야 한다.
  -ok COMMAND
		-exec COMMAND와 같지만 COMMAND를 실행하기 전에 확인을 요청한다.

3-4. path(find 명령어 다음의 path)
  .
		현재 디렉토리(기본값이므로 생략해도 됨)
  `pwd`
		현재 디렉토리와 결합(?) `은 ~문자가 있는 자판
  $(pwd)
		위의 `pwd`와 같거나 비슷함
  /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에서 하위 모든 디렉토리
  /home
		특정 /home 디렉토리에서 하위 모든 디렉토리
  /{usr,home/{aaa,san2},var}
		/usr, /usr/home/aaa /usr/home/san2 /var

3-5. 표현식-연산자

  \( 표현식 \)
		'표현식'을 우선적으로 먼저 수행
		(와 )앞에 \를 넣어야 하며, '표현식'과 공백을 각각 둔다.
		\( A + B \) * \( C + D \) 와 같이 \(, \)안을 우선적으로 수행
  ! 표현식 , -not 표현식
		'표현식'을 부정
  표현식1 -a 표현식2, 표현식1 -and 표현식2
		표현식1과 표현식2의 AND 연산
  표현식1 -o 표현식2, 표현식1 -or 표현식2
		표현식1과 표현식2의 OR 연산


3. 예제

3-1. 다른 명령어와 결합 형태(ls,xargs)

찾는 것 그 차체 만으로 만족(?) 할 수 도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
어떤 행동(Actions)을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형태1. -exec 이용시

		# find ..... -exec COMMAND {} \;

  형태2. xargs 명령어로 표준 입력받아 COMMAND 수행

		# find ..... | xargs COMMAND

  형태3. ls 명령어로 최종 결과 출력

		# ls -l `find .....[COMMAND]`
		또는
		# find .... ls
		(ls는 ls -dils와 같음)

  xargs
	xargs rpm 정보보기
	# rpm -qi `rpm -qf $(which xargs)`
	또는
	# rpm -qf `which xargs` | xargs rpm -qi

즉, find 결과에 대해서,

형태1은 -exec를 사용하여 그 인자를 {}로 사용하고,

형태2는 xargs 명령어로 find에서 넘어온 결과(표준출력)에 대해서 COMMAND를 실행하고,

형태3은 오른쪽의 find 결과물에 대해서 ls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간혹 '/bin/ls Argument list too long'이라는 에러를 낸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검색조건에 너무 많은 와일드카드 문자로 찾을 경우에 그렇습니다.
이를 테면 /*/*/*.*/.*,

`은 ~문자가 있는 자판(역인용부호).

ls -l 명령어를 사용할 경우, 찾는 결과가 없다면 모두 출력됩니다.
(ls -l와 같기 때문에)
ls 명령어와 마찬가지로 다른 명령어(chmod, chmod)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찾는
결과가 없다면 명령어에 대한 에러를 내겠죠.
(chmod 'null')과 같은 예..........

# find /{home,usr/{src,local/src}} -nouser -o -nogroup -exec ls -l {} \; -print | more
# find /{home,usr/{src,local/src}} -nouser -o -nogroup -print | xargs ls -l | more

위의 2개의 명령어 대해서 직접 테스트 해보세요...

전자의 경우, 아마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을 겁니다.

# find /{home,usr/{src,local/src}} \( -nouser -o -nogroup \) -exec ls -l {} \; -print | more

위와 같이 해야 맞겠죠...(우선순위)

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우선순위를 정해놓아야 겠지요..
아마 원하는 출력이 이 경우일 것 같군요.

# find /{home,usr/{src,local/src}} \( -nouser -o -nogroup \) -print | xargs ls -l | more


3-2. 퍼미션 관련 예제

othesrs에 쓰기(w:2) 권한이 있는 모든(-기호를 붙임) 파일 리스트를 찾을려면?

# find `pwd` -perm -2 -print | xargs ls -l

여기에서 2는
퍼미션이 -------w- 와 일치하는 파일이며 -의 의미는 rwx-중 하나.

왜 2인가요?
만약 퍼미션이 755 이라면,

   700 : rwx------ : user
    50 : ---r-x--- : group
     5 : ------r-x : others
   ------------------------
   755 : rwxr-xr-x : others는 읽기와 실행 권한

따라서 others의 권한은 8진수로 5(r+x)이다.

그렇다면, others가 쓰기(w:2) 권한은 당연히 -------w-

그룹이나 others에게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일 경우

	-perm -20 -o -perm -2

그룹과 others에게 모두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일 경우

	-perm -22

[others에게 w 권한이 있는 파일에 w 권한 없애기]

방법1)
  1. others에게 w 권한이 있는 파일 리스트 출력

	# find `pwd` -perm -2 -print | xargs ls -l | more
	(만약 매치되는 리스트가 없다면 전부 출력함)

  2. others에게 w 권한을 없애기

	# find `pwd` -perm -2 -print | xargs chmod o-w
	(만약 매치되는 리스트가 없다면 chmod에 에러를 냄)

방법2) 방법1)의 과정을 한꺼번에 할 경우

  # find `pwd` -perm -2 -exec chmod o-w {} \; -print | xargs ls -l
  또는
  # ls -l `find $(pwd) -perm -2 -print | xargs chmod o-rwx` | more

  이 경우는 퍼미션이 조정된 결과를 출력함.


3-3. 유저와 관련된 예제

UID와 GID에 대한 유저가 없는 파일을 root.root로 바꾸어 보죠.

1) 먼저 리스트를 출력해 보자.(확인해야하니깐)

  # find . \( -nouser -o -nogroup \) -print | xargs ls -l | more

2) 확인했으면, chown root.root 명령을 내리자.

  # find . \( -nouser -o -nogroup \) -print | xargs chown root.root | more
  또는
  # find . \( -nouser -o -nogroup \) -exec chown root.root {} \; -print | xargs ls -l
  (chown root.root 의 결과를 ls -l)


3-4. 유용한 팁

*주의) ***********************************************
  -a'xxxx'
		'xxxx'에 대한 Access(접근), 읽기
  -c'xxxx'
		'xxxx'에 대한 Changes(변경), 마지막으로 Access한 경우에도 변경됨
  -m'xxxx'
		'xxxx'에 대한 Modify(수정), 파일내용 자체 수정한 경우
*****************************************************

  - 최근 하루(1) 동안(-)에 변경(change)된 파일을 찾을려면(-ctime)?

	# find / -ctime -1 -a -type f | xargs ls -l | more

  - 오래된 파일을 찾을려면(30일 이상 수정(modify))되지 않은)?

	# find / -mtime +30 -print | more

  - 최근 30일(30) 안에(-) 접근(access)하지 않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리스트로 만들려면(-atime)?

	# find / ! \( -atime -30 -a \( -type d -o -type f \) \) | xargs ls -l > not_access.list

  - 자신의 홈디렉토리에서 만 검색하려면?

	# find $HOM ...
	또는
	# find ~root ...

  - 서브 디렉토리로 내려가지 않고 현재 디렉토리에서만 검색하려면?

	# find . -prune ...

  - 특정 유저(foobar) 소유의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user foobar -print | more

  - 퍼미션이 777인 파일을 찾을려면 ?

	# find / -perm 777 -print | xargs ls -l | more

  - others에게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perm -2 -print | xargs ls -l | more

  - others에게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을 찾아 쓰기 권한을 없애려면?

	# find / -perm -2 -print | xargs chmod o-w
	또는
	# find / -perm -2 -exec chmod o-w {} \; -print | xargs ls -l | more

  - 유저이름과 그룹이름이 없는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 -nouser -o -nogroup \) -print | more

  - 빈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empty -print | more
	또는
	# find / -size 0 -print | more

  - 파일크기가 100M 이상된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size +102400k -print | xargs ls -hl

  - *.bak 파일을 찾아 지울려면?

	# find / -name "*.bak" -exec rm -rf {} \;

  - *.bak 파일을 찾아 특정 디렉토리로 옮길려면?

	# mv `find . -name "*.bak"` /home/bak/

  - 디렉토리 만 찾을려면?

	# find . -type d ...

  - root권한으로 실행되는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 -user root -a -perm +4000 \) -print | xargs ls -l | more

  - 다른 파일시스템을 검색하지 않을려면?

	# find / -xdev ...

  - 파일이름에 공백이 들어간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name "* *" -print

  - 숨겨진(hidden) 파일을 찾을려면?

	# find / -name ".*" -print | more

  - 같은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를 찾을려면?

	# find / -type d -print | awk -F/ '{printf("%s\t%s\n",$NF,$0);}' | sort| more
	*주)'O'Reilly Unix Power Tools' 참고

  - 잘못된 링크를 찾을려면?

	# find . -type l -print | perl -nle '-e || print' | xargs ls -l
	*주)'O'Reilly Unix Power Tools' 참고


4. find 명령어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려면?

# man find

DESCRIPTION
       This  manual page documents the GNU version of find.  find
       searches the directory tree rooted at each given file name
       by  evaluating  the  given  expression from left to right,
       according to the rules of precedence (see  section  OPERA
       TORS),  until  the outcome is known (the left hand side is
       false for and operations, true for  or),	 at  which  point
       find moves on to the next file name.

       The first argument that begins with `-', `(', `)', `,', or
       `!' is taken to be the beginning of  the	 expression;  any
       arguments before it are paths to search, and any arguments
       after it are the rest of the expression.	 If no paths  are
       given, the current directory is used.  If no expression is
       given, the expression `-print' is used.

       find exits with status 0 if all files are  processed  suc
       cessfully, greater than 0 if errors occur.

EXPRESSIONS
       The expression is made up of options (which affect overall
       operation rather than the processing of a  specific  file,
       and  always  return  true),  tests (which return a true or
       false value), and actions (which	 have  side  effects  and
       return a true or false value), all separated by operators.
       -and is assumed where the operator  is  omitted.	  If  the
       expression  contains  no actions other than -prune, -print
       is performed on all files  for  which  the  expression  is
       true.

1) path(생략-앞부분에서 설명)

2) 표현식-연산자(생략-앞부분에서 설명)

3) 표현식-옵션 :
   options (always true):
       -daystart -depth -follow --help
       -maxdepth LEVELS -mindepth LEVELS -mount -noleaf --version -xdev

       All  options always return true.	 They always take effect,
       rather than being processed only when their place  in  the
       expression is reached.  Therefore, for clarity, it is best
       to place them at the beginning of the expression.

       -daystart
	      Measure times (for -amin,	 -atime,  -cmin,  -ctime,
	      -mmin,  and  -mtime)  from  the  beginning of today
	      rather than from 24 hours ago.

       -depth Process each directory's contents before the direc
	      tory itself.

       -follow
	      Dereference symbolic links.  Implies -noleaf.

       -help, --help
	      Print  a	summary of the command-line usage of find
	      and exit.

       -maxdepth levels
	      Descend at most  levels  (a  non-negative	 integer)
	      levels  of directories below the command line argu
	      ments.  `-maxdepth 0' means only	apply  the  tests
	      and actions to the command line arguments.

       -mindepth levels
	      Do  not  apply  any tests or actions at levels less
	      than levels (a non-negative  integer).   `-mindepth
	      1'  means process all files except the command line
	      arguments.

       -mount Don't descend directories on other filesystems.  An
	      alternate	 name  for  -xdev, for compatibility with
	      some other versions of find.

       -noleaf
	      Do not optimize by assuming that	directories  con
	      tain  2  fewer  subdirectories than their hard link
	      count.   This  option  is	 needed	 when	searching
	      filesystems  that do not follow the Unix directory-
	      link convention, such as CD-ROM or MS-DOS	 filesys
	      tems or AFS volume mount points.	Each directory on
	      a normal Unix filesystem has at least 2 hard links:
	      its  name	 and  its  `.'	entry.	Additionally, its
	      subdirectories (if any) each  have  a  `..'   entry
	      linked to that directory.	 When find is examining a
	      directory, after it has statted 2 fewer subdirecto
	      ries than the directory's link count, it knows that
	      the rest of the entries in the directory	are  non-
	      directories  (`leaf'  files in the directory tree).
	      If only the files' names need to be examined, there
	      is  no  need to stat them; this give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arch speed.

       -version, --version
	      Print the find version number and exit.

       -xdev  Don't descend directories on other filesystems.

4) 표현식-tests
   tests (N can be +N or -N or N):
       -amin N -anewer FILE -atime N -cmin N
       -cnewer FILE -ctime N -empty -false -fstype TYPE -gid N -group NAME
       -ilname PATTERN -iname PATTERN -inum N -ipath PATTERN -iregex PATTERN
       -links N -lname PATTERN -mmin N -mtime N -name PATTERN -newer FILE
       -nouser -nogroup -path PATTERN -perm [+-]MODE -regex PATTERN
       -size N[bckw] -true -type [bcdpfls] -uid N -used N -user NAME
       -xtype [bcdpfls]

       Numeric arguments can be specified as

       +n     for greater than n,

       -n     for less than n,

       n      for exactly n.

       -amin n
	      File was last accessed n minutes ago.

       -anewer file
	      File was last accessed more recently than file  was
	      modified.	  -anewer  is affected by -follow only if
	      -follow comes before -anewer on the command line.

       -atime n
	      File was last accessed n*24 hours ago.

       -cmin n
	      File's status was last changed n minutes ago.

       -cnewer file
	      File's status was last changed more  recently  than
	      file  was modified.  -cnewer is affected by -follow
	      only if -follow comes before -cnewer on the command
	      line.

       -ctime n
	      File's status was last changed n*24 hours ago.

       -empty File  is	empty  and  is either a regular file or a
	      directory.

       -false Always false.

       -fstype type
	      File is on a filesystem of type  type.   The  valid
	      filesystem  types	 vary among different versions of
	      Unix; an incomplete list of filesystem  types  that
	      are accepted on some version of Unix or another is:
	      ufs, 4.2, 4.3, nfs, tmp, mfs, S51K, S52K.	 You  can
	      use  -printf with the %F directive to see the types
	      of your filesystems.

       -gid n File's numeric group ID is n.

       -group gname
	      File belongs  to	group  gname  (numeric	group  ID
	      allowed).

       -ilname pattern
	      Like -lname, but the match is case insensitive.

       -iname pattern
	      Like -name, but the match is case insensitive.  For
	      example, the patterns `fo*'  and	`F??'  match  the
	      file names `Foo', `FOO', `foo', `fOo', etc.

       -inum n
	      File has inode number n.


       -perm mode
	      File's  permission  bits are exactly mode (octal or
	      symbolic).  Symbolic modes use mode 0 as a point of
	      departure.

       -perm -mode
	      All  of  the  permission	bits mode are set for the
	      file.

       -perm +mode
	      Any of the permission bits mode  are  set	 for  the
	      file.

       -regex pattern
	      File name matches regular expression pattern.  This
	      is a match on the whole path, not	 a  search.   For
	      example,	to match a file named `./fubar3', you can
	      use the regular expression  `.*bar.'  or	`.*b.*3',
	      but not `b.*r3'.

       -size n[bckw]
	      File uses n units of space.  The units are 512-byte
	      blocks by default or if `b' follows n, bytes if `c'
	      follows  n,  kilobytes  if `k' follows n, or 2-byte
	      words if `w' follows n.  The size	 does  not  count
	      indirect blocks, but it does count blocks in sparse
	      files that are not actually allocated.

       -true  Always true.

       -type c
	      File is of type c:

	      b	     block (buffered) special
	      c	     character (unbuffered) special
	      d	     directory
	      p	     named pipe (FIFO)
	      f	     regular file
	      l	     symbolic link
	      s	     socket

       -uid n File's numeric user ID is n.

       -used n
	      File was last accessed n days after its status  was
	      last changed.
       -user uname
	      File  is	owned  by  user	 uname	(numeric  user ID
	      allowed).

       -xtype c
	      The same as -type unless the  file  is  a	 symbolic
	      link.   For symbolic links: if -follow has not been
	      given, true if the file is a link to a file of type
	      c; if -follow has been given, true if c is `l'.  In
	      other words, for symbolic links, -xtype checks  the
	      type of the file that -type does not check.

5) 표현식-Actions
   actions:
       -exec COMMAND ; -fprint FILE -fprint0 FILE -fprintf FILE FORMAT
       -ok COMMAND ; -print -print0 -printf FORMAT -prune -ls

       -exec command ;
	      Execute command; true if 0 status is returned.  All
	      following arguments to find are taken to	be  argu
	      ments  to	 the command until an argument consisting
	      of `;' is encountered.  The string `{}' is replaced
	      by the current file name being processed everywhere
	      it occurs in the arguments to the command, not just
	      in arguments where it is alone, as in some versions
	      of find.	Both of these constructions might need to
	      be  escaped  (with a `\') or quoted to protect them
	      from expansion by the shell.  The command	 is  exe
	      cuted in the starting directory.

       -fls file
	      True; like -ls but write to file like -fprint.

       -fprint file
	      True;  print the full file name into file file.  If
	      file does not exist when find is run,  it	 is  cre
	      ated;  if it does exist, it is truncated.	 The file
	      names ``/dev/stdout'' and ``/dev/stderr'' are  han
	      dled  specially;	they refer to the standard output
	      and standard error output, respectively.

       -fprint0 file
	      True; like -print0 but write to file like	 -fprint.

       -fprintf file format
	      True;  like -printf but write to file like -fprint.

       -ok command ;
	      Like -exec but ask the user first (on the	 standard
	      input);  if the response does not start with `y' or
	      `Y', do not run the command, and return false.

       -print True; print the full file name on the standard out
	      put, followed by a newline.

       -print0
	      True; print the full file name on the standard out
	      put, followed by a  null	character.   This  allows
	      file  names  that	 contain newlines to be correctly
	      interpreted by programs that process the find  out
	      put.

       -printf format
	      True;  print  format on the standard output, inter
	      preting `\'  escapes  and	 `%'  directives.   Field
	      widths  and precisions can be specified as with the
	      `printf' C function.  Unlike -print,  -printf  does
	      not  add	a  newline at the end of the string.  The
	      escapes and directives are:

	      \a     Alarm bell.
	      \b     Backspace.
	      \c     Stop printing from this  format  immediately
		     and flush the output.
	      \f     Form feed.
	      \n     Newline.
	      \r     Carriage return.
	      \t     Horizontal tab.
	      \v     Vertical tab.
	      \\     A literal backslash (`\').

	      A	 `\' character followed by any other character is
	      treated as an ordinary character, so they both  are
	      printed.

	      %%     A literal percent sign.

	      %a     File's   last  access  time  in  the  format
		     returned by the C `ctime' function.

	      %Ak    File's last access time in the format speci
		     fied  by  k, which is either `@' or a direc
		     tive for the  C  `strftime'  function.   The
		     possible values for k are listed below; some
		     of them might not be available on	all  sys
		     tems,   due  to  differences  in  `strftime'
		     between systems.

		      @	     seconds since Jan.	 1,  1970,  00:00
			     GMT.

		     Time fields:

		      H	     hour (00..23)
		      I	     hour (01..12)
		      k	     hour ( 0..23)
		      l	     hour ( 1..12)
		      M	     minute (00..59)
		      p	     locale's AM or PM
		      r	     time, 12-hour (hh:mm:ss [AP]M)
		      S	     second (00..61)
		      T	     time, 24-hour (hh:mm:ss)
		      X	     locale's time representation (H:M:S)
		      Z	     time zone (e.g., EDT), or nothing if
			     no time zone is determinable

		     Date fields:

		      a	     locale's  abbreviated  weekday  name
			     (Sun..Sat)
		      A	     locale's full weekday name, variable
			     length (Sunday..Saturday)
		      b	     locale's	abbreviated   month  name
			     (Jan..Dec)
		      B	     locale's full month  name,	 variable
			     length (January..December)
		      c	     locale's  date  and time (Sat Nov 04
			     12:02:33 EST 1989)
		      d	     day of month (01..31)
		      D	     date (mm/dd/yy)
		      h	     same as b
		      j	     day of year (001..366)
		      m	     month (01..12)
		      U	     week number of year with  Sunday  as
			     first day of week (00..53)
		      w	     day of week (0..6)
		      W	     week  number  of year with Monday as
			     first day of week (00..53)
		      x	     locale's	  date	   representation
			     (mm/dd/yy)
		      y	     last two digits of year (00..99)
		      Y	     year (1970...)

	      %b     File's size in 512-byte blocks (rounded up).

	      %c     File's last status change time in the format
		     returned by the C `ctime' function.

	      %Ck    File's last status change time in the format
		     specified by k, which is the same as for %A.

	      %d     File's  depth in the directory tree; 0 means
		     the file is a command line argument.

	      %f     File's name  with	any  leading  directories
		     removed (only the last element).

	      %F     Type  of the filesystem the file is on; this
		     value can be used for -fstype.

	      %g     File's group name, or numeric  group  ID  if
		     the group has no name.

	      %G     File's numeric group ID.

	      %h     Leading  directories of file's name (all but
		     the last element).

	      %H     Command line argument under which	file  was
		     found.

	      %i     File's inode number (in decimal).

	      %k     File's size in 1K blocks (rounded up).

	      %l     Object  of	 symbolic  link	 (empty string if
		     file is not a symbolic link).

	      %m     File's permission bits (in octal).

	      %n     Number of hard links to file.

	      %p     File's name.

	      %P     File's name with the  name	 of  the  command
		     line  argument  under  which  it  was  found
		     removed.

	      %s     File's size in bytes.

	      %t     File's last modification time in the  format
		     returned by the C `ctime' function.

	      %Tk    File's  last modification time in the format
		     specified by k, which is the same as for %A.

	      %u     File's  user name, or numeric user ID if the
		     user has no name.

	      %U     File's numeric user ID.

	      A `%' character followed by any other character  is
	      discarded (but the other character is printed).

       -prune If  -depth  is  not given, true; do not descend the
	      current directory.
	      If -depth is given, false; no effect.

       -ls    True; list current file in  `ls  -dils'  format  on
	      standard	output.	  The  block  counts  are  of  1K
	      blocks,	 unless	   the	  environment	 variable
	      POSIXLY_CORRECT  is  set,	 in  which  case 512-byte
	      blocks are used.
 
출처 : http://www.linuxchannel.net/docs/find-xargs-ls.txt
 
추가
 
* find 명령어
사용형식: find [찾을 디렉토리경로] [찾기옵션] [찾은후 수행할 작업]
[찾을 디렉토리경로]
.   : 현재 디렉토리 이하를 검색대상으로 한다.
/   : 루트디렉토리(파일시스템전체)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ID : 지정된ID의 홈대렉토리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찾기옵션]
-empty  : 비어있는 파일을 찾는다.
-uid UID : 지정된 UID를 갖는 파일을 찾는다.
-gid GID : 지정된 GID를 갖는 파일을 찾는다.
-group 그룹명 : 지정된 group을 가진 파일을 찾는다.
-name  : 지정된 형식의 패턴을 가지는 파일을 찾는다.
-newer  : 지정된 파일 이후에 생성된 파일을 찾는다.
-perm  : 지정된 퍼미션을 가진 파일을 찾는다.
-used 일자수 : 최근 n일 이후에 변경된 파일을 찾는다.
-user  : 지정된 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의 모든 파일을 찾는다.
[찾은후 수행할 작업]
-exec "수행명령어" : 검색된 파일을 대상으로 "수행명령어"(쉘명령어)를 실행한다.
1. 특정 사용자의 ID소유로된 모든 파일 찾기
# find / -user test01 -print
2. 특정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내에서  특정 파일 찾기
# find /home/test01 -name *.html -print
# find ~test01 -name *.html -print
3. 시스템내의 특정파일들을 검색하여 자동삭제하는 방법
# find ~test01 -name *.bak -exec rm -f {} \;
4. 지정한 소유자의 모든 파일을 찾아서 확인하기
# find / -user test01 -exec ls -l {} \;
5. 서버내의 불필요한 파일들 모두 정리(삭제)하기
# find / -name access_log -exec rm -f {} \;
6. 특정용량 이상되는 파일들 모두 찾기(용량단위로 파일검색)
# find /usr -size +10000k -exec ls -l {} \;
7. 특정 퍼미션을 가지고 있는 파일들 모두 찾기
# find / -perm 4755 -exec ls -l {} \;
8. 특정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모든 디렉토리 목록만 확인하기
# find ~test01 -type d -print
9. 서버내에 존재하는 모든 링크파일 검사하기
# find / -type l -exec ls -l {} \;
10. 쓰기 권한이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 찾기
# find / -type f \( -perm -2 -o -perm -20 \) -exec ls -lg {} \;
# find / -type d \( -perm -2 -o -perm -20 \) -exec ls -ldg {} \;
11. 특정문자를 포함하는 파일찾기와 그 문자가 속한 행 찾기
# find ~test01 type f -exec egrep -i "doc" /dev/null {} \;

파일속 mms: 찾기찾기
find . -type f -name "webfile.html" -exec grep "mms://vod.xxxx.co.kr" {} /dev/null \;

파일 속 IP을 도메인으로 바꾸기
find . -type f -name "webfile.html" -exec perl -pi -e 's/211.xx.xx.39/vod.xxxx.co.kr/g' {} \;

특정 파일 속 IP 도메인으로 바꾸기
find . -type f -name "[0,1][0-9].html" -exec perl -pi -e 's/211.xx.xx.39/vod.xxxx.co.kr/g' {} \;

압축
for i in $(find . -name 'webfile.html'); do tar -rvf webfile.tgz $i; done

Posted by 샤키
취미2009. 11. 11. 00:50
한국의 알프스



양떼목장 가는길은

영동고속도로 강릉방면으로 가다가 횡령 톨게이트 나온다음에

용평리조트 방면으로 가다면 삼양대관령목장 가는길이라고 이정표 나올것입니다..

횡령 톨게이트로만 빠지면 이정표가 찾기 쉽게 되어 있으니 찾는데 무리가 없을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좀더 자세한 사항은 http://www.yangtte.co.kr/ 를 참고하세요

PS : 여름때 찍은거라 계절은 여름으로...
Posted by 샤키
Windows2009. 8. 31. 12:21

 요즘은 윈도우를 사용 하시는 대부분분들이 최적화(?)된 윈도우를 사용 한다

   

예를 들어 snoopy xp, 블랙에디션 xp 등등

   

내 경우도 처음에는 저런 최적화는 찝찝하다고 아무런 튜닝이 되어 있지 않은 순수버전을 선호 했다

   

하지만 윈도우를 설치 시 시디키 치는 것 조차 귀찮아서 지금은 최적화 된 윈도우를 사용한다

   

뭐 지금은 저것조차 귀찮아서 고스트까지 사용하지만 ㅋ

   

아무튼 최적화된 윈도우를 설치를 하면 대부분 계정이 Administrator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보통 순수버전을 설치 시 Administrator 계정은 사용을 못하게 되어 있다

   

그럼 순수버전에서는 Administrator을 사용 못하는 것일까?

   

이미 설치된 윈도우에서 하는 방법도 있지만

   

지금 설치 시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이게 훨 쉽기 때문에 ㅎㅎ

   

각자의 능력으로 윈도우 XP 순수버전을 구해서 설치를 한다

   

여기서 팁을 준다면 윈도우 XP MSDN판 파일명은 보통

   

ko_windows_xp_professional_k_with_service_pack_3_x86_cd_vl_x14-87427

   

이거 일 것이다. 용량은 634MB

   

여기서 MSDN은 Microsoft Developer Network으로 MS프로그램 개발자 네트워크에 가입된

   

사람들의 편의상 웹 상에서 다운을 받을 수 있는 버전이다

   

MS에서 직접 받은 거니 윈도우에 아무 짓(?)도 안되어 있는 순수버전인 것이다

   

아무튼 자세한 거는 검색 해보면 쭉 나올 듯

   



윈도우를 쭉 설치 하다가 사용자 계정을 넣는 곳에서

   

SYSTEM 혹은 SERVICE로 치면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소문자도 됨)

   

혹은

위에서 나오는 화면에서 사용자계정 쳐야 한다 이전에 나오는 사용자계정 물어보는곳은 아니다

   

설치가 완료가 되면 계정이 Administrator으로 된것을 볼 수 있다

   

보너스로 윈도우 정품확인 방법은 시작 - 실행 - oobe/msoobe /a 치면 나온다

MSDN버전으로 설치 해서 그런지 정품인지 되어 있었다

   

업데이트를 하고 재부팅을 하니 이런것이 +_+

   

동의함 체크 하고 설치를 해보자

   

이제 저런 메세지는 안나온다

   

업데이트를 모두 해보고 다시 업데이트를 해보니

   

내가 설치 하지 않은 익스8만 나온다 업데이트도 잘 된다!!

Posted by 샤키
Computer2009. 8. 20. 11:46

예전에 프로젝트 보고서 작성 했을때 사용했다가 최근에 사용 해보려니 생각이 안나서

   

블로그에서 포스팅 해두고 까묵으면 볼 수 있도록 (근데 왜 이렇게 기억력이 안좋냐 ㅜㅜ)

   

샘플은 V3Lite를 이용 했다 (괜히 저작권 문제 되지는 않겠지 ;;;)

   

먼저 포토샵으로 이미지 2개를 불러 온다

   

포토샵 왼쪽에 위와 선택할 모양을 선택 한다

   

확대 할 부분 지정 한다

그후 일반적인 복사방식 Ctrl+C를 한번 누르고 Ctrl+V를 해서 붙여 놓는다

   

동그란 부분만 복사가 된것을 볼 수 있다

   

저 아이콘을 클릭 후

   

복사할 대상을 마우스 왼쪽으로 드래그해서 복사할 곳으로 옮긴다

   

그러면 복사대상이 위 그림처럼 넘어가는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Ctrl+T를 누르면 저런 사각형이 생긴다

   

   

마우스로 늘려준다 그후 엔터를 눌러준다

   

확대 시킨 이미지의 테두리를 만들기 위해

edit -> Stoke 눌러준다

   

Width : 말그대로 테두리 두께

Color : 테두리 색깔

   

3px의 검은색으로 만들면 위처럼 됩니다

   

이번에는 포토샵에서 화살표를 그리기 위해 위의 그림을 클릭한다

   

빨간칸을 먼저 클릭후

weight은 화살표의 굵기

Color은 말 그대로 색깔

start는 시작되는 화살표 모양

end는 끝날때 화살표 모양 (이거는 직접 해보면 이해가 됨)

   

위와 같이 화살표 모양이 되고 클릭하면 돋보기가 확대가 된것처럼 보여준다

(동그라미가 너무 커서 ㅜㅜ)

   

완료된 그림을 전체화면으로 본 모습

뭔가 어설프지만 내가 안 까묵으려고 하는거니 ㅋ

 

Posted by 샤키
Computer2009. 8. 17. 14:04

 순수버전(?)으로 XP3나 VISTA를 설치를 하였다면

바탕화면에 인터넷 익플로러가 없는것을 볼 수 있을것이다

   

정확한 이유는 생각이 안나는데 바탕화면에만 없는걸로 알고 있다

   

   

서비스팩2에만 해도 위와 같이 화탕화면 항목에 Internet Explorer 항목이 있는것을 볼 수 있다

   

서비스팩3에는 항목 자체가 없다 +_+

   



왜 이렇게 바뀌었는지... 암튼 수동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추가 시켜야 한다

   

바탕화면에 새폴더를 하나를 만들고

   

아무런 폴더에다가 폴더 이름을

Internet Explorer.{871C5380-42A0-1069-A2EA-08002B30309D}

와 같이 만든다

   

만드는 즉시 인터넷익플로러 아이콘으로 바뀔 수도 있고...

굳이 안그렇다고 하더라도 위에 만든 폴더를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한다

   

 





VISTA도 같은 방법으로 됩니다~
Posted by 샤키